'▽ 해외 각국의 정보 및 썰 (전체글)'에 해당되는 글 295건

  1. 필리핀의 주거환경
  2. 필리핀의 단독주택, 빌리지
  3. 필리핀의 아파트, 콘도미니엄 정보
  4. 필리핀 학생비자, 선교비자

필리핀의 주거환경

오늘은 필리핀의 주거환경과 부동산 이용법에 대해 포스팅 하려고 한다.

필리핀의 주거환경은 참 양극화가 심한 것 같다.

좋은 곳은 눈이 휘둥그레 해질 따름이고 일반인들이 거주하는 집들은 어떻게 저기서 살지라는 생각뿐..

집에 창문이 없고 천조각이나 비닐로 덮어놓고 사는 모습은 할 말을 잃게 만들었었고

지인분이 하루 벌어 벽돌한장씩 사서 올려서 집을 짓는다는 사람도 있다는 얘기를 해주셨을 때는 

설마 했지만 조금 살다보니 진짜 그런사람이 있었다.. 

솔직히 이 곳 필리핀에서도 더 다양한 주거환경이 있을진 모르겠지만 한국사람이나 외국인들이 살기에는

이 곳 필리핀사람들의 주거환경은 그리 썩 좋지만은 않아보이는게 사실이다. 

 

Rich-and-Poor-in-The-Philippines.jpg
6a00e3933590d588340168e6a21680970c-800wi.jpg
3081a891c474e852a67c78069727-grande.jpg

 

 

분명 우리의 기준에서는 위 사진의 집들은 극빈곤층의 빈민가처럼 보이지만  

여기서는 어딜가나 어렵지 않게 볼수있는 일반 필리핀 사람들의 집이다. 

물론 필리핀 사람들이 모두 사진에 보이는 것 같은 집에 사는 것은 아니지만 

내가 보기엔 상당히 비중이 높아보인다.

여기는 특이하게 한 집에 가족, 친구,친지들이 모여사는 경우가 굉장히 흔하다고 들었다.


아는 필리피나가 말하길  

어느날 친구가  

"나 너희집에서 좀 살아도 되?"

 "그래"  


이렇게 같이 사는 경우가 흔하다고 했었다..

우리네 상식으로는 그닥 이해가 잘 가지 않는 것이 사실. 

집이 좀 넓다면 다행이지만 비좁은 집에 서너명, 혹은 너다섯명씩 다닥 다닥 붙어 생활한다고 하니.. 

차라리 외딴 섬에 혼자 살지..



el-nido-shops-house-lane-palawan-philippines.jpg
9720268865_c618a35c51_z.jpg




그나마 양호해 보이는 필리핀의 일반 주택. 이 정도 주택이면 괜찮은 축에 속한다고 생각한다.

뭐 솔직히 저정도만 되도 살기 나쁘진 않을 것 같다.

하지만 필리핀에 저러한 집들만 있는 것은 물론 아니다. 

물론 어느나라를 가거나  빈부격차가 있고 환경의 차이가 있지만  

필리핀은 정말 상위5%와 중산층이라 부를만한 15% 나머지 80%로 나뉘어있는 것 같다. 

물론 잘 못 생각하고 있을 수도 있지만.. 빈부격차가 정말 심하다.

필리핀의 물가가 굉장히 쌀 것이라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는데,

필리핀, 만만치 않다.





출처: http://cafe.naver.com/nansphill

필리핀에서 빌리지에 산다는 것은 왠만한 부를 가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한국과 같이 위치하는 지역에 따라 가격도 천차만별이고 분위기도 틀리다.

이 곳도 더 번화가이고 땅값이 비싼 곳에 형성된 빌리지일수록 고급이고 가격도 비싼반면,

땅값이 비교적 저렴하고 보통의 빌리지이면 가격도 합리적이다.

no-name-9374-52512-1-product.jpg
no-name-9377-52512-2-product.jpg
no-name-9384-52512-3-product.jpg
no-name-9392-52512-4-product.jpg



이러한 빌리지들은 출입구부터가 여타 다른 집들과는 확연한 차이가 있다.

빌리지마다 정문, 후문 등 빌리지타운 내에 진입하는 입구가 따로 있으며 이 입구는 

무장경비들이 24시간 지키고 통행을 감시한다.

자동차건 사람이건 패스, 즉 통행증이 없다면 출입조차 할 수 없는 곳이 빌리지다.

필리핀의 치안이 좋지 않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 곳 빌리지 안에 사는 사람들은 

비교적 위험에 노출이 적다.

내가 살고있는 동네의  빌리지 안에 거주하는 아이들은

할로윈 데이에 분장을 하고 자유롭게 사탕을 얻으러 다닐 정도라 들었으니

이 정도면 치안은 걱정없다고 봐도 무방하지 싶다.

빌리지 밖에 콘도나 아파트, 일반 주택에 사는 아이들에겐 누릴 수 없는 일상이기도 하다.




20140312121152-52fbad0bfcc5857db594398a6ead6dd9.jpg
20140312121144-44db216ecc1397ecd5ee3e4869b88592.jpg

20140312121203-59739487f6ee8b0064b302666fe2319a.jpg
20140312121212-78a57828bdc0e6d36e8e17e15e12014e.jpg




빌리지 집집마다 가드를 고용하는 집도 있다 들었고 거의 기본적으로 몇 명의 메이드들과 드라이버가 상주하고

개인 수영장은 물론 집에 방이 5~6개 씩 되는, 소위 말하는 "저택" 수준의 집들도 가끔 볼 수 있다.

이런 고급빌리지는 가격만해도 몇천만 페소를 호가한다. 한화로 치면 몇억은 한다는 소리다.

물론 한국에서 이런 곳에 산다면 몇 배 이상 더 비싼 값을 치뤄야 할지도 모르겠지만..

이 곳에선 왠만한 사람들은 꿈도 못 꾸는 집이다.



entrance.jpg

(필리핀 마닐라 남부 알라방 지역의 빌리지 게이트)

no-name-8890-79412-1-product.jpg
no-name-8893-79412-2-product.jpg
no-name-8898-79412-3-product.jpg

(필리핀의 일반적인 대형 빌리지)



물론 고급빌리지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빌리지도 존재한다.

한국사람들도 빌리지에 거주하며 유학생들의 하숙을 겸하는 분들도 있다.


images.jpg

(우리동네에 있는 노스 그린힐스 빌리지)


빌리지 내에는 빌리지 거주민들이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시설들도 구비되어 있다.

클럽하우스부터 빌리지 관리 사무소는 물론, 농구코트, 테니스장 및 연회장까지 있는 곳도 있다.

고급 빌리지 타운에는 수영장부터 헬스장 등 다양한 편의시설은 기본으로 구비되어있다.



보통 일반 빌리지들은 미국이나 서양국가권의 일반 단층 및 2층 주택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출처: http://cafe.naver.com/nansphill

한국에서 사람들에게 가장 친숙한 "아파트"

필리핀에선 고층 주택 건물을 "콘도미니엄 (condominium)이라 부른다.

이 곳에서 아파트는 5층 전후의 저층 주택 건물을 칭하는 말이다.

개인적으로 필리핀의 주거의 꽃은 콘도라고 생각한다.

심지어 내 필리핀 친구는 콘도에 살면 다 부자라고 얘기할 지경이니..

필리핀의 콘도또한 지역, 건물의 급에 따라 가격도 월세도 천차만별이다.

 

강남같은 동네에 위치한 콘도는 월세가 20만페소 가까이 하는 것도 있고 (한화 500만원)

한달에 8~9천 페소면 살 수 있는 콘도도 있다. (한화 20만원 대)

 

76111265.jpg

(그린힐에 위치한 콘도)

 

필리핀의 콘도도 솔직히 월세가 무시할만한 가격은 아닌 것 같다.

우리집을 예를 들자면 큰방 한 칸과 작은방 한 칸, 화장실이 2개 있는 집인데 

관리비 포함 22,000페소를 내고 산다. (한화 약 550,000원)

평수는 대략 20여평 정도 되는 것 같다.

 

필리핀이라고 해서 집값은 얼마 안할 줄 알았으나 처음 와서 집값을 보고 약간 당황했던 기억이 난다.

콘도도 빌리지와 마찬가지고 콘도의 입구에 가드들이 지키고 서있으며 차량과 통행인을 통제한다.

입주민이 아니면 입구에 방문신고를 하고 들어가거나 집주인의 확인 후 방문자의 출입을 허가한다.

보통 방문자는 방문신고를 하고 신분증을 맡긴 후 출입을 허가받는다. 

 

40000.jpg
20140525122750-9f5bfd42b50fcae051adb9f09f5597cc.jpg

20140525122801-fe0365f735c784c1af9f2f384d121552.jpg
20140525122935-bd7cf0439a4ff79fcbd0f5cfd09acef8.jpg

(일반적인 콘도 내부의 모습)

 

 

필리핀에서는 한국과는 다르게 보통 벽지를 쓰지않고 벽에 페인트를 칠해 사용하는 것 같다.

위의 콘도는 우리집은 아니고 우리집 근처에 있는 콘도의 내부 모습인데 

대충 일반적인 콘도의 내부의 모습이라 생각하면 될 듯하다.

 

콘도는 풀퍼니쳐와 세미퍼니처, 언머니처 세가지 종류로 나뉘어 있는데

풀퍼니처는 말 그대로 모든 것들이 구비되어 있고 몸만 들어가서 살면 되는 것이고 

세미퍼니처는 어느정도 가구가 구비가 되어 잇는 것,

언퍼니처는 공실상태의 집을 말한다. 기본적인 싱크대나 붙박이 정도는 설치되어 있는 곳도 있다.

가격은 당연히 풀퍼니처가 더 비싸다. 

 
20140812144725-48142bfad5f950801b6cf96c967d2509.jpg
20140812144735-a0d164cab14bf7998ff9ee0ae73a9c4e.jpg

165000.jpg
20140812144920-e9346bcc0a143bdf75d5bcb665d3379b.jpg

 

 

콘도도 위와같이 크기가 큰, 방이 4~5개인 콘도부터 한국의 원룸인 스튜디오 타입까지 종류가 다양하다.

마닐라에는 마카티, 보니파시오, 말라떼, 만달루용, 올티가스 등이 콘도 밀집지역이다.

지진대에 걸쳐있는 나라라 콘도들이 나름 내진설계도 잘 되어있다고 한다.

무엇보다 좋은 점은 층간소음이 전혀! 없다는 사실..

층고도 왠만하면 거의 다 높은 편이라 (가끔 복층구조의 집은 층고가 낮은 집고 있다.)

집이 좁아도 비교적 넒어보인다.

 

하지만 한국에 비해 퍼니쳐나 기타 집의 구조물들은 퀄리티가 좀 떨어지는 것은 어쩔수 없는 것 같다.

고급형 콘도에는 많이 가보진 않았지만 한국의 고급아파트에 비하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no-name-8416-03396-2-product.jpg
no-name-2841-20162-1-product.jpg
no-name-4441-20162-3-product.jpg

보니파시오 글로벌 시티에 위치한 고급형 콘도.

월세가 8만페소, 한화로 약 2백만원 가량 한다. 



no-name-8413-03396-1-product.jpg
no-name-8429-03396-6-product.jpg
no-name-8429-03396-6-product.jpg
no-name-8434-03396-8-product.jpg
no-name-8432-03396-7-product.jpg
no-name-8416-03396-2-product.jpg
no-name-8440-03396-10-product.jpg

no-name-8419-03396-3-product.jpgno-name-8426-03396-5-product.jpg


필리핀 마닐라의 보니파시오 글로벌 시티에 위치한 고급형 콘도.  

월세가 약 10만 페소 정도 한다. 한화 약 2,500,000원

필리핀에서 일반 사람들의 월급이 약 1만페소, 한화 25만원인것을 감안하면 

위 콘도들은 그들은 평생 한 번 살아보지 못 할 집이긴하다.

 









출처: http://cafe.naver.com/nansphill

필리핀에서 학생비자를 발급받을 수 있는 대상은 필리핀 현지 대학교를 다니고 있는 대학생뿐이다.

비자의 신청 및 발급은 오직 재학중인 현지 대학교에서만 가능하다.

이 외에 초,중,고등학생 및 언어연수를 온 성인들의 경우는 

SSP(Special Study Permit)
라는 허가증을 발급
받아야 한다.

만약 초,중,고등학생의 경우 부모가 은퇴비자를 소지하고 있을 경우에는 SSP, 

즉 허가증 없이 자유롭게 학교를 다닐 수 있고
,

부모 중 한 명이 워킹비자를 소지하고 동반비자를 신청하였을 경우에 한해 

SSP가 없어도 학교를 다닐 수 있다.

이 SSP는 재학중인 학교나 어학원에서만 신청 및 발급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선교비자는

필리핀에 선교, 즉 종교적인 목적만을 띄고 오는 사람에 한해서만 발급받을 수 있다.

즉, 영리의 목적이 아닌 선교의 목적만이 허가를 받을 수 있다.

이 선교비자는 필리핀 한인회나 필리핀 현지 선교단체에서만 신청, 발급이 가능하며

소요되는 비용은 노동청 비용을 제외한 워킹비자의 비용가 거의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비자의 기간 역시 워킹비자와 동일하게 1년부터 3년까지 신청이 가능하다.




출처: http://cafe.naver.com/nansp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