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 인터넷 소매판매시장 - Amazone 및 myAyala 중심으로 성장세 이어질 듯
- □ 시장개요
ㅇ 필리핀 인터넷 소매판매시장 규모는 연간 114억 페소(2억5000만 달러)에 달하며, 연간 8%대의 성장을 보이고 있어 전망이 매우 밝은 분야 중 하나로 조사됨.
ㅇ 인터넷 소매판매의 열쇠는 저가로 인터넷을 접속할 수 있는 기반 조성과 결제시스템의 신뢰가 결정적으로 작용하며, 전반적으로 경제성장과 궤를 같이할 것으로 분석됨.
ㅇ 인터넷 소매판매 품목으로는 미디어 제품과 소비자 가전제품이 압도적이며, 특히 가전제품은 2007년 판매증가율이 12%에 이를 정도로 큰 비중을 차지함.
ㅇ 필리핀 유명 인터넷 소매판매업체는 amazon.com Inc가 운영하는 www.amazone.ph로 2007년 기준 시장점유율이 40%에 이르러 타의 추종을 불허함. 2위의 업체는 Ayala 그룹이 운영하는 myAyala이나 1위 업체와의 차이가 매우 크며, 오프라인 판매업체들을 중심으로 점차 판매업체가 확산될 것으로 전망됨.
- □ 시장동향
ㅇ 인터넷 쇼핑에 필수적인 인터넷 이용환경이 급속도로 개선되는데, 필리핀에서도 통신회사들이 통신 인프라 구축을 통해 더 많은 가입자 확보를 위해 노력하며, 소비자들은 지속적으로 기존의 Dial-Up 인터넷 접속에서 DSL 라인 방식으로 바꾸고 있고 더욱 빠른 서비스가 제공되는 추세임.
ㅇ 인터넷 이용료도 점차 저렴해지는데, 예를 들어, 무제한으로 이용 가능한 Dial-Up 인터넷 이용료는 월 2500페소(7만5000원)였으나 이제는 무제한 DSL이 월 999페소(3만 원)에 이용 가능함.
ㅇ 이러한 변화에 힘입어 2007년 인터넷 소매판매 총액은 8% 증가했으며, 인터넷 접속여건의 개선 및 경제성장에 따른 가처분 소득 증가와 함께 소비자들은 더 많은 쇼핑기회를 갖게 돼 인터넷 소매판매는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됨.
ㅇ 주목할 만한 것은 필리핀이 이제 국제적인 콜센터사업 번창과 함께 인터넷 소매판매가 급증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음. 미미한 수준에서 인도에 이어 2위의 콜센터를 유치하고 가장 급성장하고 있는 지역이어서 콜센터 근무직원들의 인터넷 소매판매가 급속도로 확대되는 상황을 맞이함.
- □ 경쟁동향
ㅇ 필리핀에서 인터넷 소매판매를 주도하는 기업으로는 Amazon을 들 수 있으며, 2007년 시장점유율이 40%에 이름. 이 기업은 강력한 브랜드 이미지를 기반으로 소비자들에게 어필하고 있으며, 가장 인기 있는 인터넷 소매판매 구매제품인 서적과 오디오 및 비디오 제품들을 판매함.
ㅇ 그 다음으로는 부동산, 금융 및 통신 거대재벌인 Ayala 그룹이 운영하는 myAyala이며, 9%의 시장점유율을 보임. 이 회사는 은행 및 필리핀 2대 이동통신회사를 소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성장이 기대됨.
ㅇ Amazon은 2007년 판매증가에도 불구하고 시장점유율이 소폭 하락하고 있는데, 이는 필리핀 내에서 온라인으로 서적을 판매하는 다양한 경쟁업체의 등장에서 기인하며, 가장 유력한 경쟁자로는 오프라인 최대 매장을 확보하고 강력한 네트워크를 구축해 최대 매출을 올리고 있는 National Book Store를 들 수 있음.
ㅇ 국제적인 소매업체인 Amazon은 필리핀 현지업체들보다 인터넷 소매판매 비중이 높으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데 당분간은 주도적인 위치를 고수할 것으로 기대됨. 현재 확고한 보안시스템 구축 및 이를 통한 안정감 있는 결제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는 큰 장점을 지님.
ㅇ 아울러 다양한 제품을 구비함으로써 소비자가 원하는 One-Stop 쇼핑이 가능하도록 하고 유망품목 위주의 대량구매 및 판매를 통해 운송비 절감, 규모의 경제 달성도 큰 장점으로 꼽힘.
ㅇ 반면 필리핀 현지업체들은 허술한 보안시스템으로 국제적인 사기 위험성 노출이라는 약점을 안고 있으며, 이를 만회하고 소비자들의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 Verisign과 같은 국제적으로 신망 있는 보안업체와 연계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음.
- □ 애로요인 및 업계동향
ㅇ 인터넷 이용자 수가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인터넷 관련 소매판매도 매년 큰 폭의 시장규모를 형성하고 있으나 기본적인 시장여건이 아직은 더욱 보완돼야 할 것으로 조사됨.
ㅇ 주요 애로 요인으로는 첫째, 필리핀의 소득 양극화가 심화돼 전반적인 저변이 미약하다는 점임. 중산층 부재로 이용할 수 있는 여건이 미비하며, 인터넷 보급도 상류층 일부에 국한돼 일반적인 상품구매로 이어지는 데 많은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됨.
ㅇ 둘째로 온라인 결제시스템이 미약해 인터넷 소매판매를 제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이는 결국 낮은 신용카드 보급 및 사용에서 기인하며, 보안성이 취약하다는 점으로 연결됨.
ㅇ 셋째로 구매품목의 제한을 들 수 있음. 인터넷 판매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품목으로는 소비용 전자제품을 들 수 있는데 2007년 판매증가율이 12%에 이름. 그 중 핸드폰, 컴퓨터 및 MP3 플레이어 등의 판매가 돋보이며, 부유층 남성 소비계층을 끌어들이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음.
ㅇ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인터넷 소매판매 성장이 기대보다 크지는 않지만 인터넷 보급 및 이용확대와 온라인 구매를 희망하는 소비자들의 증가에 힘입어 매장판매업체들도 점차 인터넷 소매판매를 병행하거나 기존 판매를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임.
ㅇ 자사의 인터넷 판매사이트를 개설하는 경우가 좋은 예인데, 오프라인 강자들인 National Book Store, SM Applicance 등이 대표적이며 이들 업체들은 이미 인터넷 소매판매 사이트를 개설해 부유한 소비층들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ㅇ 또한 핸드폰을 통한 인터넷 소매판매는 아직 필리핀에서 활성화되지 않고 있으나 인터넷 결제시스템이 은행 및 대금결제를 서서히 대체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앞으로 결제시스템도 완비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 기대됨.
ㅇ 마지막으로 필리핀에서 신용카드 보급이 낮아 인터넷 소매판매의 성장을 제한했는데 전업카드사 혹은 은행계 카드를 중심으로 보급 확대에 나서고 있어 온라인 소매판매의 전망은 지금보다 훨씬 밝을 것임.
- □ 시장전망
ㅇ 인터넷 소매판매는 인터넷 보급의 확대, 통신환경 개선, 보안 및 결제 시스템 구축, 경제성장에 따른 소득증가 및 필리핀 콜센터의 활성화 등에 힘입어 급속도로 성장추세를 이어갈 것임.
ㅇ 아울러 이러한 소매판매의 활성화는 거꾸로 신용카드의 보급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이는 바 향후 인터넷 소매판매는 필리핀의 마닐라, 세부, 다바오 등 대도시 위주의 중·상류층을 중심으로 한 판매가 크게 증가하고 점차 중소규모 도시로, 중하위층으로 파급되는 절차를 거칠 것임.
ㅇ 인터넷 소매판매 성장의 큰 장벽은 경제성장 둔화로 볼 수 있으며, 이는 곧 가처분 소득과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의미임.
ㅇ 분야별로는 소비자 전자제품이 지금과 같이 인터넷 소매판매에서 가장 유망한 부문이 될 것이며, 젊은 계층의 급속한 확대로 이들의 인터넷 활용증대 및 가처분 소득증가에 맞춰 다양한 제품의 폭발적 판매가 예상됨.
ㅇ 인터넷 소매판매의 단위가격은 다소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인터넷 소매판매업체들이 소비자 저변의 확대 및 규모의 경제 향유, 그리고 대중적인 수요에 맞춘 마케팅 전략에서 기인함.
ㅇ 비싼 매장 임대료와 최소한의 고용을 통해 운영이 가능한 온라인 서점은 온라인 쇼핑객들에게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제품들을 공급하게 돼 앞으로도 유망한 사업영역을 구축하게 될 것임. 또한 인터넷 소매판매는 선물용품 구입과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거나 접촉이 쉽지 않은 친구 및 가족들을 위한 제품 구매에서 많은 수요를 지닌다는 점에서 이 부문에 대한 특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ㅇ 경쟁업체로는 향후 10년 동안 Amazon이 강력한 시장선도자로 남을 것임. 이는 강력한 브랜드 이미지와 다양한 제품구비 및 보안과 결제시스템의 신뢰로 높은 시장점유율을 유지해 온 지금까지의 고객신뢰도 구축과 깊은 관련이 있음.
ㅇ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리핀 내 매장을 가진 소매판매업체들의 점진적인 인터넷 소매판매 활성화 노력도 가시화될 것임. 기존의 오프라인을 통한 강력한 네트워크 구축 및 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통해 유통비용의 인하 등으로 소비자들에게 더욱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고 있기 때문임.
- □ 인터넷 소매판매시장 규모 자료원 : Euromonitor, 필리핀 무역산업부(DTI), 언론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