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우리가 사용하는 직접 만질 수 있는 종이화폐는 정부에서 얼마나 만들어낼지를 결정하고

그 돈이 어디로 흘러나가고 있는지를 은행을 통해서 알 수가 있다. 

 

통상 돈이라고 하면, 중앙에 관리하는 기구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은행이 그 일을 한다.

돈을 얼마나 찍을지 정하고, 유통량을 조절하는 곳이다.

비트코인에는 이런 기구가 없다. 그 뜻은 돈을 찍는 기구도 없다는 얘기다.

 

블록체인은 한 번 거래했을 때마다 그 거래에 대한 기록을 남긴다.

예를 들어 A가 1000원을 B에게 보냈다 이런 식으로...

이러한 기록은 블록체인 안에서 거래를 하는 모든 사람들의 장부에 기록이 된다.

그렇다면, 이제 비트코인은 전세계적으로 일어나는 거래를 기록하는 장부라는 개념이 잡힐 거다.

그리고 이 거래기록을 하나의 블록체인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모두가 같은 장부의 내용을 가지고 있다라는 이 개념을 사람들은 탈중앙화되어 있다고 말합니다.

은행과 같은 중앙 한 곳에서 장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군데에서! 모두가!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탈중앙화되어 있다고 말하는 거다.

 

그대신 누구나 비트코인을 만들 수 있다. 성능 좋은 컴퓨터로 수학 문제를 풀면 비트코인을 대가로 얻는다. 이렇게 비트코인을 만드는 과정은 광산업에 빗대어 ‘캔다’(mining)라고 불린다. 또 이런 방식으로 비트코인을 만드는 사람을 영어로 ‘마이너’(miner)라고 부르는데, 우리말로 ‘광부’라는 뜻이다. 광부는 비트코인 세계에서 곧 조폐공사다.

 

블록체인 기술은 현재 진행형인 기술로, 미래가 어떻게 될지 그 누구도 쉽게 답하지 못한다. 마치 2000년대 스마트폰이 가져온 혁신을 예측하기 힘들었던 것처럼 말이다. 

 

기존의 은행은 고객들이 모두 같은 중앙 서버에서 거래 내역을 보관하고 관리하였다면, 블록체인은 모든 고객이 거래 장부를 보관하고 관리하며 정보를 공유하는 방식, 즉 'P2P(PEER-TO-PEER)'이라는 방식이 이용된다.


두 사용자 사이에 거래가 이루어지면 그 내용을 기록한 일명 '블록'이 만들어지고, 이 블록은 모든 블록체인 참가자에게 전송되어 유효성을 검증받게 된다. 이 검증 과정은 흡사 컴퓨터로 암호를 푸는 것인데, 이 과정을 '채굴(mining)'이라고 부른다. 모든 블록체인 참가자 중에서 최초로 채굴을 성공한 사람에게는 암호화폐, 일명 비트코인과 같은 것이 보상으로 주어진다.

 

이렇게 유효성을 검증받은 블록은 다른 참가자의 거래가 기록되어 있는 다른 블록들에 연결된다.
그리고 그 블록에 기록되어 있는 거래 내역은 장부에 남게 되어 참가자들에게 공유된다. 거래 내역을 담은 블록이 다른 블록과 연결되는 패턴에서 블록체인이라는 이름이 나오게 된 것이다.

 

블록체인 기술은 현재 진행형인 기술로, 미래가 어떻게 될지 그 누구도 쉽게 답하지 못한다.

마치 2000년대 스마트폰이 가져온 혁신을 예측하기 힘들었던 것처럼 말이다.